배너 닫기
후원하기
뉴스등록
포토뉴스
RSS
네이버톡톡
맨위로

목천 김병찬 서각작품 ㅡ국보180호 추사선생의 세한도

등록일 2021년08월24일 21시11분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목천 김병찬 선생 서각작품 ㅡ 국보180호 추사 선생 세한도

목천의서각이야기는 국보180호 추사선생의 세한도 
ㅡ2달간 주말에만 작업해서 지난주에 완성 ㅡ

"날씨가 추워진 뒤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늦게 시드는 것을 안다.[歲寒然後知松柏之後彫也.]"

세한(歲寒)은 혹독한 추위를 뜻하는 말로 혼란한 세상, 곤궁한 처지를 비유한다. 송백(松柏)은 한 겨울의 눈바람과 서리를 이겨내고 푸름을 유지하는 생태적 특성에서 절조의 상징으로 불려왔다. 어떠한 역경에도 뜻을 굽히지 않고 지조와 의리를 지키는 군자의 마음을 강조한 말이다. 줄여서 세한지송백(歲寒知松柏), 세한송백(歲寒松柏)이라고도 하며, 비슷한 뜻으로 올곧은 절개와 굳은 지조를 가진 사람을 뜻한다

추사 김정희(1786∼1856)는 실학자로 청나라 고증학의 영향을 받아 금석학을 연구하였으며 뛰어난 예술가로 추사체를 만들었고 문인화의 대가였다. 이 작품은 김정희의 대표작으로 가로 69.2㎝, 세로 23㎝의 크기이다.

이 그림은 그가 1844년 제주도에서 귀양살이를 하고 있을 때 그린 것으로 그림의 끝부분에는 자신이 직접 쓴 글이 있다. 이 글에서는 사제간의 의리를 잊지 않고 북경으로부터 귀한 책들을 구해다 준 제자 이상적의 인품을 소나무와 잣나무에 비유하며 답례로 그려 준 것임을 밝히고 있다.

한 채의 집을 중심으로 좌우에 소나무와 잣나무가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주위를 텅 빈 여백으로 처리하여 극도의 절제와 간략함을 보여주고 있다. 오른쪽 위에는 세한도라는 제목과 함께 ‘우선시상’, ‘완당’이라 적고 도장을 찍어 놓았다. 거칠고 메마른 붓질을 통하여 한 채의 집과 고목이 풍기는 스산한 분위기가 추운 겨울의 분위기를 맑고 청절하게 표현하고 있다. 마른 붓질과 묵의 농담, 간결한 구성 등은 지조 높은 작가의 내면세계를 보여 주고 있다.

인위적인 기술과 허식적인 기교주의에 반발하여 극도의 절제와 생략을 통해 문인화의 특징을 엿볼 수 있는 조선 후기 대표적인 문인화로 평가되고 있다.

♧느타나무,크기 가로1200,세로380,
한자(300字)는양각,(그림속 글씨는 음각)
소나무는 음각,음양각 혼용,
채색은 아크릴 검정물감사용,
제작기간 2개월(10일,토,일요일작업)
 

- 2021년 8월 24일 목천 김병찬 -

배근익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0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문예유성 오피니언 문학

포토뉴스

기부뉴스

여러분들의 후원금으로
행복한 세상을 만듭니다.

현재접속자 (명)